화섬산지 지속가능성에 최대변수로 떠오른 ‘대구염색공단 이전’
화섬직물산지 생산 기반 다운사이징 가속화 요인으로 접근해야
정부의 연구·개발사업 예산에 대한 대대적 삭감·축소 대응 여파로 섬유·패션 산업계 전반에 걸친 신소재 및 신제품 개발 행보가 급속하게 냉각되고 있어 우려된다.
당장 산업계를 측면 지원하고 있는 연구기관 및 단체는 물론, 기업 부설연구소의 움직임이 심상찮다.
기존 연구개발 예산 대비 최소 20~30% 이상의 예산삭감은 물론, 더 이상 사업추진이 어렵거나 중단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사업이 부지기수다.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 가운데 상당수가 당초 사업추진 계획을 전면 수정 또는 중단위기를 맞음에 따라 더 이상 부설연구소 운영이 힘든 지경에 이른 기업들이 속출하고 있다.
중앙 및 지방정부의 지원으로 신제품 및 신소재개발에 대응해왔던 기업들까지 연구개발사업에 급제동이 걸림에 따라 향후 산업 내 연구개발 역량이 빠르게 약화됨은 물론, 신수요시장 대응력 또한 우려되고 있다.
무엇보다, 패션의류 및 비의류·특수용도 분야를 가리지 않고 지속가능성과 친환경에 중점 둔 글로벌시장 급변에 대응해야 하는 산업계 입장에서 고민이 더욱 커지고 있다.
물론, 이러한 정부의 연구개발 예산 삭감 및 축소 행보에도 기업 독자의 예산을 투입해 개별기업의 지속성장 방안을 확보하려는 기업들도 있다.
하지만, 개별기업 대응으로써는 감당하기 어려운 환경변화로 말미암아 제조기반 섬유산업 및 기업의 지속성장 기반 확보에 최대 변곡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나마 정부 예산지원으로 추진되는 각종 사업을 통해 산·학·연, 제조기업 간, 수요-공급기업 간 연계를 유도하는 한편, 산업 내 생태계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연구개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이마저도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원사에서 제직/편직, 염색가공, 봉제/패션에 이르는 제조공정 기반의 공동화를 더욱 가속시킴은 물론, 대외환경 급변에 대응할 완충 요소의 약화로 제조 생태계 경착륙이 우려된다는 시각이다.
특히, 정부의 R&D예산 삭감에 대구시의 지역 섬유산업을 대하는 곱지 않은 시선이 더해진 대구경북 화섬직물 산지의 충격파는 더욱 크게 작용할 전망이다.
대구시와 섬유 산업업계 간 불통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구염색산업단지 이전이 산지의 최대 현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화섬직물소재의 최종 완제품 가공 공정을 수행하고 있는 대구염색산업단지의 이전은 곧 화섬직물산지의 구조조정 신호탄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더 나아가 이전 시점이 당초 계획보다 2년 당겨진 2030년으로 이전이 본격화될 경우, 적잖은 기업들의 산업 내 궤도이탈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에 따라 화섬산지의 구조변화를 넘어 지각변동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앞으로 6년 남짓 남았다.
대구염색공단의 군위 첨단산단 내 이전에는 기존 염색가공기업을 비롯 신소재 고부가 고기능성 복합섬유소재 클러스터로 조성되며, 염색산업은 무방류시스템 자원회수시설 설치를 골자로 한다.
이는 화섬산지의 체질을 개선하는 기회인 동시에 생태계 전반을 다운사이징 가속화 요소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하지만 정작 관련 산업계는 단순히 ‘염색공단 이전’이란 단편적 사안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모습이며, 지자체의 산업 대전환 대응에 대해 상황파악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크다.
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를 비롯 화섬직물산지 기관단체는 산업계가 안팎으로 직면한 현안을 타개하기 위해 대구광역시와의 ‘불통’ 상황을 정상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학계 및 산업계 관계자는 “화섬산지 위기상황 대응안 마련에서 최대 걸림돌은 산업 내 혁신 주체들의 잘못된 상황판단에 있으며, 그러한 오판을 지속하고 있다는 데 있다”며, “산업 내 굳어진 오랜 관행과 조직 및 시스템의 변화로 떨어진 감도를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갈라진 내부 역량을 하나로 모으려는 강력한 의지가 수행 돼야 한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내 섬유산업계와 화섬산지를 대표하는 한국섬유산업연합회와 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 수장을 중심으로 전례 없는 산업 내 역량결집과 대응 묘수 마련에 희생과 봉사가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원사 메이커의 산업 내 궤도이탈 여파가 미들스트림의 완제품 최종 공정기업까지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산업계 대표 기관·단체들의 판단과 대응 가능한 시간은 그렇게 많지 않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