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엔바이오 – 급변하는 기후 환경 변화에 Bio기술로 대응, 패션소재에 웰빙·친환경 가치 더해
친환경·高안전·다기능성 항균·방충제 부문 녹색기업·기술·제품 3종 인증으로 신뢰성 확보해 환경부 승인 물질 적용한 업-그레이드 BIOMASS 신제품, 섬유제품 업계 변화 수요 견인 국내 첫, 반려동물 의류용 고안전 다기능성 모기·진드기 방충 섬유...


온도에 따라 딱딱함과 부드러움 자유자재 전환하는 ‘액체금속 전자잉크’ 개발
가변강성 갖춘 다목적 전자기기, 의료 기술, 로봇 등 새로운 패러다임 기대 전자 잉크 용매의 산성도 조절 통해 갈륨 입자를 전기·기계적 연결하는 독창적 기술 액체금속 프린팅 고질적 문제 해결, 상온에서 초정밀 고해상 회로 제작 가능 ▶(왼쪽부터)...


국표원, 기술혁신 주도할 17개 신기술·7개 신제품 선정
‘25년 제1회 신기술(NET)·신제품(NEP) 인증서 수여식 개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김대자)은 5월 23일 오후 2시 서울 엘타워 오르체홀에서’2025년 제1회 신기술(NET) 및 신제품(NEP) 인증서 수여식‘을 개최하고...


KAIST 연구진, 백금 효율 100배 높인 신개념 촉매 개발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프로필렌 생산할 수 있는 신개념 촉매 촉매 비용 절감, 교체 주기 감소 등 경제적·환경적 효과 기대 ▶생명화학공학과 최민기 교수님(왼쪽), 생명화학공학과 이수성 박사과정(오른쪽) 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부품, 전자제품 등...


에코융합섬유연구원-HC-trap 국산화 총력, 글로벌 모빌리티 부품 패권에 도전장
유증기 가스규제 대응 흡기하이드로카본(HC-trap) 수입대체 국산화 제품 실증 에코융합섬유연구원(원장 서민강)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5년 탄소융복합소재부품 실증’사업에 참여기관으로 최종 선정돼 국산...


주력 아이템 전략화 & 전환 위한 R&D 투자 대응 확대 이어져
신소재·신기술 기업과 연대·협력, 이머징 신수요 시장 공략 나서 법·제도 마련, HS 품목 재설정으로 섬유산업 영역 확장 견인 필요 그동안 원사, 사가공·제직준비, 편직/제직, 염색가공, 봉제/패션에 이르는 지극히 패션소재 중심의 공정 스트림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강택 교수 연구팀, 세계 최고 CO₂ 전해전지 개발 성공
신소재 세라믹 나노 복합섬유 기반 ‘세라믹 전해전지’ 탄소중립 핵심 기술로 주목 ▶(왼쪽부터) 기계공학과 김민정 석사 (위), 기계공학과 아크롬존 석사 (위), 기계공학과 윤가영 석사과정, 기계공학과 오세은 박사과정, 기계공학과 김형근 박사과정...


한국과학기술원(KAIST), 미생물로 친환경 나일론 유사 플라스틱 개발 성공
바이오 기반 폴리에스터 아마이드(플라스틱) 생산 가능성 세계 최초로 제시 ▶ (왼쪽부터)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 채동언 박사,최소영 박사, 안다희 박사과정 폴리에스터 아마이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플라스틱인 PET(폴리에스터)와...


KOTMI(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JEC World 2025 기술 혁신상 수상
원료비파쇄 기반 고성능 재생 탄소섬유 고속 회수 공정기술 높이 평가 인덕션 기술활용, 탄소섬유 폐기물 10초 이내 1,000℃ 이상 고속 열분해 친환경 ‘재생 탄소섬유’ 회수, 기존 성능 97% 수준 유지하는 고속 회수 가능 ‘탄소 섬유산업 폐쇄...


DGIST, 에너지 생산·저장이 동시에 가능한 바이오매스 기반 형상기억고분자 섬유 개발
섬유 무게의 56,000배 이상 하중 견디는 인공근육섬유, 첨단 섬유 및 웨어러블 산업 전반 활용 기대 ▶(좌측부터) DGIST 에너지환경연구부 임상규 책임연구원, 서혜진 전임연구원, 김영광 전임연구원, 홍성희 전임연구원 ▶에너지 생산 및 저장이...


DGIST, 움직임만으로 전기와 빛 동시에 만드는 ‘一打雙皮’기술 개발
물속에서도 안정적 자가발전 구현, 재난 구조 등 다양한 분야 활용 기대 ▶디지스트 DGIST 김회준 교수, 정순문 박사 (왼쪽 위부터 차례대로) 및 연구진 ▶물속에서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ML+TENG 장치를 활용한 SOS 신호 발생연구의 개념...


KERI, ㈜송이실업과 협업해 고효율·고유연 ‘금속섬유천 면상 발열체’ 기술개발
전기차에 ‘금속섬유천 면상 발열체’ 채택한 온돌형 난방 실현 기대 균일한 열 분포 및 높은 내구성·효율성 강점, 반도체 등 제조 분야에도 활용 가능 ▶keri 이동윤 박사(가운데)팀이 겨울철 전기차의 온돌형 난방을 실현하는 고효율 고유연...


DYETEC연구원, 섬유 염색기업 현장 통합 데이터 플랫폼 구축
생산성 향상, 품질 개선, 리드타임 단축 등 섬유산업 디지털 전환 목표 DYETEC연구원(원장 홍성무)은 ㈜에이테크(대표 김정완, 주관 사업자), ㈜이주(대표 이창석)과 공동으로 2024년 7월 중소기업벤처부가 주관하는 스마트 제조혁신...


‘28년까지 200대 선도 프로젝트 추진, 대한민국 제조 현장, 인공지능(AI)으로 탈바꿈한다
12개 업종 153개의 대한민국 대표 제조기업 등이 참여한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 출범 섬유산업 - 코오롱글로텍 앵커기업으로 섬유산업 인력 문제 AI 자율제조로 해결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월 22일, 안덕근 장관과 산·학·연을 대표하는...


‘2024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선정 과제, 친환경·지속가능성에 포커싱
특화소재 개발 기술력·산업 내 혁신역량 갖춘 이업종 융합 패키지 구성 소재의 해외 의존도 완화, 기술 고도화 및 미래시장 선점을 통한 제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정부가 지원하고 있는 ‘2024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이하, 소부장사업)’....


㈜송이실업 – 발열체 원천기술 기반, 미래 신수종 산업과 ‘밸류-체인’ 강화 나서
소부장 ‘미래 모빌리티용 고효율 발열모듈·하드플로어 일체형 모듈개발’ 총괄주관 섬유 패션·소재 분야 30여 년의 제직(Weaving)·설계(Fabrication) 노하우를 바탕으로 특화된 발열체 원천기술을 확보한 ㈜송이실업(대표 손황,...


KOTMI ‘하이테크 롤(High-Tech Roll) 첨단화 지원 기반구축 사업’ 본격 추진
2027년까지 총 194억원 투입, 신산업 제조장비 원천기술, 부품, 장비 공급망 확보 체계적인 지원 프로세스 기반, 이차전지·섬유 산업 원천기술 자립화 확보 계기 ▶하이테크 롤 및 롤투롤 장비 수요-공급사슬 경상북도, 구미시,...


전북, 탄소복합재(CFRP) 적용한 소형선박 바다에 띄운다
FRP 대비 20% 경량화, 약 2.8배 강도 향상 실증 확인 연료 절감 및 안전성 강화, 새로운 조선산업 생태계 기대 전북특별자치도는 11월 26일, 군산 오식도동에서 탄소복합재를 적용한 소형선박 제조 및 운항 실증을 주제로 ‘규제자유특구사업...


삼우기업(주), 건설용 친환경 GFRP 구조재 관련 연구과제 선정
기존 유해물질을 대체한 친환경 수지기반 GFRP 구조재 개발 글로벌 탄소중립 트렌드에 부합하는 건설용 구조재 개발·실증연구 ▶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워크숍 사진 유리섬유복합재료(GFRP) 전문업체인 삼우기업(주)은...


제조업을 더 젊고 강하게, 대한민국 제조업에 인공지능(AI)을 입힌다
올해 26개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공개, 민·관 3.7조원 투자 기대 선도프로젝트로 생산성 30%↑, 제품결함 50%↓, 에너지소비 10%↓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 중심으로 ‘27년 선도프로젝트 200개까지 확산 제조업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