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리올라이트컴퍼니, ‘리올라이트(Reolite)’ 무기 항균소재 미국 EPA 승인·등록 마무리


항균소재 세계 최초 EPA 등록, 신뢰성 기반 글로벌 항균소재 플랫폼 기업 토대 마련

EPA, FDA, SIAA, SEK 등록·승인, K-BPR 및 EU-BPR 승인 추진 통해 신뢰성 강화

산업용 및 섬유소재 분야 등 다양한 수요 대응형 항균·친환경 솔루션 구축·제시해 주목



ree
ree
ree
ree


글로벌 항균소재 플랫폼을 지향하는 ㈜리올라이트컴퍼니(대표 이영진, www.reolite.com )는 자사의 주력 아이템인 리올라이트(Reolite) 항균소재가 지난 7월 3일, 미국환경보호청(EPA)으로부터 EPA 승인 및 등록번호(공장등록 등)를 교부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리올라이트 항균 기능성과 안전성 기반의 신뢰성을 더욱 공고하게 다지는 계기가 마련됨은 물론, 동종분야 항균소재의 글로벌 우위를 확보하는 토대를 확보하게 됐다.

     

은(Ag)과 아연(Zn)으로 구성된 무기 항균소재 리올라이트의 미국 EPA 승인 및 최종 등록에 이르기까지 4년여에 걸친 시간과 10억여 원에 이르는 자금이 투입됐다.

     

미국시장에서 항균(Antimicrobial) 소재는 독극물에 준하는 강화된 규정 및 인증 절차에 따라 인체유해성(피부, 경구독성), 환경영향 등 매우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해야만 한다.

     

리올라이트컴퍼니는 그동안 EPA 인증에 앞서 미국 FDA 등록, 일본 항균협회(SIAA) 인증과 일본 항균섬유평가기술협의회(SEK) 인증을 획득하는 등 신뢰성 기반 대응을 지속해 왔다.

     

특히, 이번 EPA 승인·등록에 이어 유럽시장을 겨냥한 EU-BPR 승인 절차에 곧바로 돌입, 글로벌 마켓에서 항균소재의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행보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세계 및 국내 최초의 무기계 항균제 EPA 승인 등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K-BPR 승인절차(살생물물질 및 제품)에 돌입했다.

     

국내의 경우, 환경부 화학제품안전법 기준인 K-BPR을 통해 섬유 항균제(섬유보존제)를 비롯 살생물물질, 살생물제품, 살생물처리제품 등 살생물제품 유형에 따른 승인절차를 통과해야만 한다.

     

섬유분야 항균제는 섬유보존제류로 분류됨에 따라 오는 2027년까지 승인유예기간으로 하며, 살생물제품(섬유원사, 원단)의 경우, 2029년까지 승인받아야만 항균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리올라이트컴퍼니는 그동안 다양한 수요시장을 정조준한 항균 솔루션을 개발·완료하는 한편, 섬유 원사기업, 생활용 가전제품 분야 플라스틱 등 다양한 수요분야 기업과 기술미팅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번 EPA 승인 등록 소식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수요군에서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는 등 수요시장 및 비즈니스 저변 확대에 고무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항균 PP, 항균 PE, 항균 ABS를 비롯 항균 cr-PET(화학적 리사이클 PET), mr-PET(물리적 리사이클 PET) 기반의 항균 원사와 항균 화이버, 항균 생분해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

     

리올라이트의 항균 기능성은 50회 세탁 후에도 99.999%의 항균력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된다.

     

리올라이트 항균소재는 산업용 분야에서 컴파운드 기반 코팅 및 융합을 통해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핸드폰 등 생활가전제품, 벽지, 주방용품 등 일상용품과 건축자재분야, 의료용/화장품용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 마스터배치(M/B) 기반 섬유분야의 경우, 원사, 화이버, 부직포 등을 접목해 메디컬, 홈인테리어, 스포츠/기능성 의류, 공기 청정기, 각종 건축자재 등 다양한 채택이 제시되고 있다.

     

이미, 산업용분야에서는 S전자 김치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부품 등에 리올라이트 PP소재를 테스트 진행하는 한편, 리올라이트 PE 항균 포장/보관용 비닐의 경우, 위생 및 신선도 유지 등 가능성을 확인했다.

     

메디컬의류 분야의 경우, 리올라이트컴퍼니의 메디컬 어패럴 브랜드 클로라이트(CloLite)가 FDA에 정식 등록, 의료 검진 가운을 공략하고 있으며, 100회 이상 세탁에도 항균력을 지속해 세균 성장억제 및 내구성 유지로 2차 감염예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리올라이트컴퍼니는 항균소재의 글로벌 인증을 통한 탄탄한 신뢰성을 바탕으로 국내는 물론 글로벌 항균소재의 대표 플랫폼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수요마켓 대상의 자체 및 협력 생산 인프라 라인-업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오는 8월 20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프리뷰인서울2025(PIS2025)에도 참가해 국내·외 글로벌 바이어 대상 상담을 진행한다.

     

     

<김진일 기자>

     

Comments


​한국섬유경제신문

Address : 서울시 서초구 방배천로 22, 5층 511호, 512호 (방배동 정동빌딩)
Tel : 02-5114-114
Fax : 02-5114-115

Copyright 2021 한국섬유경제신문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