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국내 섬유업계 – 지속가능성 담보할 기초소재 개발력 약체 가속화


기초소재 조달 수입의존 확대, 중소섬유·원사기업들 원사개발 나서





기초소재개발을 통해 지속성장을 확보하려는 섬유산업계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지만 업스트림(원사)의 급속한 기초체력 약화로 쉽지 않은 모습이다.

     

내수시장과 글로벌 해외시장의 경계가 사라진 차별화 기능성소재 개발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섬유소재를 중간재로 하는 신수요산업으로 진입·확장을 통해 동반성장의 연결고리를 모색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패션소재에서 비의류 및 특수용도 분야 산업용 섬유소재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수요시장의 환경변화에 따라 다양한 기초소재를 근간으로 하는 융합섬유소재를 마켓에 제시해야 하지만 역부족이다.

     

항균·소취, 발열·보온, 냉감 등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한 신소재 및 신제품개발을 향한 행보는 최근들어 그래핀(Graphene)과 에어로젤(Aerogel)에 이르는 첨단소재를 채택하며, 신시장을 개척하려는 모습이다.

     

이러한 신소재개발 행보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그동안 패션의류 시장 중심에서 특수용도 분야로의 방향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을 키워드로 지속가능성을 담보해야 하고, 마켓 전개를 위한 다양한 신뢰성 확보의 과정이 호락호락하지 않은 점 등 마켓 진입 환경이 갈수록 까다롭게 변화하고 있다.

     

석유계 화학섬유에서 천연소재로 전환과 이들 기반들의 단위 부가공정 전 분야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담아내고 이행 가능한 소재의 융합을 통해 신수요시장을 창출해야만 한다.

     

폐PET 플레이크와 칩을 기반으로 지속가능 소재에 대응해왔던 PET 리사이클 섬유소재 행보는 케미컬 리사이클 PET(CR-TET)로 방향을 트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유럽을 비롯 국내 또한 정부와 식음료 업계가 폐PET의 산업계 내 자원순환 대응을 강화하고 있는 등 폐쇄루프 기반의 리사이클(Bottle to Bottle) 대응 흐름이 본격화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내 섬유산업계를 지원하고 있는 연구기관들은 정부의 예산지원을 통해 친환경소재 기반 강화를 위해 헴프(대마), 셀룰로오스나노화이버(CNF), 비건레더 등 지속가능 산업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국내 대기업 원사메이커들의 신제품개발 소극 대응 및 단종 아이템 확대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 중심의 특수·기능사 개발 재편 흐름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에어로젤 소재를 채택한 장섬유와 단섬유를 생산, 직물/편물과 다양한 부직포 및 충진재 등으로 개발이 속내를 내고 있다.

     

패션의류 시장을 정조준한 단열·보온에서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용, 국방/조달시장에 이르기까지 신수요시장 공략에 나서는 모습이다.

     

한편, 이러한 섬유소재업계의 신소재 및 신제품개발의 핵심물질이자 소재의 상당부분이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음에 따라 원천소재가 아닌 응용기술 중심의 대응에 맞춰져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경쟁에 취약성을 갖는다.

     

코로나 시기에 고가의 산업용 고강력 PE 원사를 냉감용 침구 및 매트리스에 채택해 출시된 이후 3년이 채 지나지 않은 지난해부터 중국산 PE소재가 내수시장 장악을 시도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산 PE원사를 수입해 사가공 공정을 거친 후 국산 PE원사로 공급하는 등 원산지 세탁이 이뤄지고 있으며, 가격경쟁력 바탕의 수입산으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대기업 원사메이커들의 신제품개발 단종과 산업 내 역할 축소에 따른 스트림 환경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소 섬유소재기업들의 지속성장 기반 확보 노력에 비해 성과창출은 더디기만 하다.

     

국내 섬유제조기업 단체와 생산을 중단한 원사 메이커가 수입산 원사를 공급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산업계 현황이다.

     

그동안의 섬유패션산업 내 스트림의 굴레를 벗어나 신수요 전·후방산업군과의 연계와 가치사슬 구도를 새롭게 도출하는 등 지속성장 생태 기반을 새롭게 짜야 할 시점이다.

     

특히, 산·학·연 연계를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산업으로의 연착륙을 유도함에 있어서 산업계 내에서의 선제적 자구 대응안 마련과 함께 설득력 있는 근거를 바탕으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도출해내야 하는 절체절명의 시점이다.

     

<김진일 기자>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