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14개 시도와 함께 지역혁신 선도기업육성 기술개발(R&D) 본격 추진
- 윤영 이
- 6시간 전
- 2분 분량
비수도권 중소기업 주력산업분야 기술혁신 위해 115개 과제에 2년간 832억원 투입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는 4월 20일(일), 올해 신설사업인 ‘지역혁신선도기업육성R&D’의 지원과제 115개를 최종 선정하고 협약 등 후속 절차를 시작했다.
‘지역혁신선도기업육성R&D’ 사업은 비수도권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촉진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역과 함께 다년간 준비·기획 후 예비타당성검토 면제, 과기부의 적정성검토를 거쳐 사업을 시행하게 됐다.
그동안의 지역 기술개발(R&D)사업과 달리 평균 매출액, 기술개발(R&D) 역량보유 등 참여 요건을 대폭 강화했음에도 불구하고 278개 과제가 응모했고, 기술개발(R&D)혁신성 및 선도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선발하기 위해 기존의 지역별 경쟁에서 벗어나 전국 단위 경쟁을 도입했다.
심도 있는 평가를 위해 요건 검토를 통과한 과제 전체를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를 활용한 대면평가를 진행, 127개 과제가 정부 지원이 가능한 우수 과제로 평가됐다.
선정 심의위원회는 정부출연금과 지자체 매칭 예산 등을 고려해 115개 과제를 최종 확정했다.
선정된 주관기업 특성을 보면, 최근 3년 평균 매출액이 약 123억 원이고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기업 비율이 약 95%로 규모와 기술개발 역량을 갖춘 기업이 참여했다.
참고로 국내 비수도권 중소기업(소상공인 제외)의 기업당 평균 매출액은 49억원, 비수도권 지역 기업부설연구소는 총 13,299개소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이 산·학·연 협력을 통해 우수한 기술개발(R&D)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연합체(컨소시엄) 구성을 유도한 결과, 전국 49개 대학과 36개 연구소 등이 참여해 과제당 평균 2.7개의 기관이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선정된 과제에 대해서는 중기부가 비수도권 14개 시도와 함께 향후 2년(24개월)간 총 832억원을 투입해 주력산업분야 해당 품목의 기술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주력산업생태계구축을 위해 38개 과제에 2년간 국비 370억원과 지방비 162억원을 지원하고, 지역기업역량강화를 위해 77개 과제에 국비 210억원, 지방비 90억원을 투입한다.
또, 기술개발(R&D)을 통해 개발된 기술(품목)이 사업화 및 실질적인 매출과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역특화프로젝트 ‘레전드 50+’를 긴밀히 연계해 지원할 계획이다.
참여기업 대상 협약설명회를 시작으로 사업계획서 보완, 과제별 협약 등의 절차를 거친 후 이르면 4월 말부터 예산이 지원되어 본격적으로 기술개발(R&D)을 수행하게 된다.
임상규 지역혁신정책과장은 “동 사업은 비수도권 지역 중소기업 전용 기술개발(R&D)로써 지역의 수요를 기반으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후 과기부의 적정성 검토를 통해 5년간 1조 445억원 규모로 마련했다.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이 주력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예산확보, 사업운영 등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Comments